[ Network ] 라우팅 프로토콜
머릿말
이전 게시물을 통해, 거리벡터 & 링크상태 알고리즘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.
이번에는
1) IGP 에서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인 RIP & OSPF
2) EGP 에서 사용되는 BGP 프로토콜까지 알아 보겠습니다.
* 라우팅 알고리즘과 프로토콜은 모두 "동적 라우팅" 에 해당됩니다. "수동 라우팅"의 경우 목적지를 관리자가 모두 설정 하기 때문에 별도의 라우팅이 요구 되지 않습니다.
들어가기 전에
인터넷은 각 기관이나 단체가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네트워크들이 라우터에 의해 연결된 복잡한 네트워크 입니다.
이 때,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AS(Autonomous System) 라고 부릅니다.
AS의 범위를 기준으로 프로토콜이 나뉘는데, 오늘 살펴 볼 2가지 알고리즘은 AS 범위 내에 있는 IGP에 해당된다.
IGP(Internal Gateway Protocol) 는 같은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.
반대로, AS외부의 프로토콜은 AS와 AS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. 이를 EGP ( External Gateway Protocol)라고 부릅니다.
RIP (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)
- RIP는 거리벡터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.
- 벨만포드 알고리즘 + hop 수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. ( 최대 15홉 )
- 최단거리를 홉으로 판단합니다.
- 30초마다 라우팅 테이블을 이웃 라우터와 공유합니다.
- RIP는 AS 내부를 구성하는 프로토콜(=IGP)에 해당됩니다.
OSPF ( Open Shortest Path First )
- OSPF는 다익스트라(=링크상태)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.
- 최단 거리를 비용으로 판단합니다.
BGP ( Border Gateway Protocol )
BGP는 규모가 큰 망을 지원하는 Path Vector (=거리벡터 발전)기반 알고리즘입니다.
링크 상태 변화가 발생하면 라우팅의 정보를 교환합니다.
라우팅 프로토콜 비교
구분 | RIP | OSPF | BGP |
표준화 | IETF | IETF | IETF |
알고리즘 | 거리벡터 | 링크상태 | 링크상태 |
최대 홉수 | 16 | 없음 | 없음 |
계층형구조 | 미지원 | 지원 | 지원 |
망규모 | 소규모 | 대규모 | 대규모 |